반응형

재학습/DB 3

Redis로 간단지연 큐 구현이 될까? (2) - Redis의 지연 큐 구현

지난 글에서, RabbitMQ에서는 플러그인으로 구현하거나, 별도의 큐를 생성하여 구현하는것을 알아보았다. https://japing.tistory.com/entry/Redis로-간단지연-큐-구현이-될까-1-간단지연-큐란 Redis로 간단지연 큐 구현이 될까? (1) - 간단지연 큐란? 목표 회사에서 큐를 구현한다. Redis를 사용한다. 회사 시스템측 이슈로인해 Redis Queue에 Push시 1분 대기시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시스템을 구상하는 과정에서 '간단지연 큐'를 발견하게되었다. japing.tistory.com Redis에서는 1.지연큐를 지원하는 기능 or 플러그인이 있는지 2.별도의 방법 지연큐를 지원하는 기능이 있는지 1.Redis + Java8(+Spring) 을 위한 Redis ..

재학습/DB 2022.09.27

Redis로 간단지연 큐 구현이 될까? (1) - 간단지연 큐란?

목표 회사에서 큐를 구현한다. Redis를 사용한다. 회사 시스템측 이슈로인해 Redis Queue에 Push시 1분 대기시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시스템을 구상하는 과정에서 '간단지연 큐'를 발견하게되었다. 간단지연 큐는 무엇이고, 이것이 1분 대기시간이라는 요구사항이 충족할 수 있는 기능이라면 Redis에서도 구현이 가능한지를 알아본다. 간단지연큐란? 메세지를 '보낸시간'이 아닌 '일정시간'이후에 받고싶은 경우에 사용한다. RabbitMQ의 간단지연 큐 필요개념 exchange -Producer에서 전달받은 메세지를 어느 Queuue에 전송할 지 결정하는 객체, 라우터개념 플러그인 사용 1.rabbitmq-delayed_message_exchange라는 플러그인을 통해 2.x-delayed-type..

재학습/DB 2022.09.26

[Postgresql] Vacuum 이란?

[Vacuum이란?] Postgresql에서는 Vacuum 개념이 있다. Vacuum개념을 설명하기위해서는 다른 선수개념들이 필요하므로 하나씩 짚어가고자 한다. Postgres는 MVCC를 구현하기위한 튜플개념이 존재하는데, 쉽게말해 트랜잭션을 가능하게 하는것을 목적으로 하는 개념이다. 이 튜플은 Postgres에서 '데이터'이다. 데이터는 튜플형태로 저장된다고 보면된다. 그렇다면 다시 본론으로돌아와보자. 트랜잭션을 지원히기위해서 튜플형태로 저장되어있는 데이터의 Update/Delete연산은 기존의 데이터를 직접 가공하는 형태로 이루어지지않는다. 즉, 기존의 데이터는 그대로 저장해두고, 사용하지않는다는 표시를 한다. 이 부분은 조금 더 정확히 설명해볼 필요가 있다. 한 개념만 더 짚어보자, Postgre..

재학습/DB 2021.10.20
반응형